▼ DevOps/AWS

AWS | 데이터베이스(RDS) 생성

Valar 2021. 2. 10. 10:56
반응형

▶ RDS란?

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)는 AWS에서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.

하드웨어 프로비저닝, 데이터베이스 설정, 패치 및 백업과 같이 잦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지원하는 서비스다. 

 

1. AWS 서비스 탭에서 데이터베이스 RDS를 선택한다.

 

 

 

2. Dashboard 데이터베이스 생성

 

 

 

3. 데이터베이스 종류 및 버전 선택

 

 

 

4. 템플릿을 프리티어로 선택할 경우 인스턴스 크기 및 SSD 스토리지를 맞게 설정해 준다. (나중에 변경 가능)

설정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별할 식별자와, 데이터베이스 접속 시 사용할 마스터 계정의 이름과, 비밀번호를 설정한다. (나중에 CLI나 GUI Tool로 접속 할때 사용한다.)

 

 

 

5. 프리티어 템플릿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된 모습

 

 

 

6. EC2 및 외부에서 접근할 경우 퍼블릭 액세스 가능 여부를 예로 변경해야 접속이 가능하다.
(지금은 생성만 해보기 위해서 아니요로 선택, RDS 상세에서 변경 가능)

퍼블릭 액세스 가능
EC2 인스턴스 및 VPC 외부의 디바이스는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
지원되는 장치 및 인스턴스에 대한 보안 그룹을 정의합니다.

 

퍼블릭 액세스 가능 아니요

DB 인스턴스에 할당된 IP 주소가 없습니다.
EC2 인스턴스와 VPC 외부의 디바이스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.

 

 

 

7. VPC 보안 그룹은 새로 생성하지 않아도 무관하지만 나중에 관리를 위해서 새로 생성했다.

 

 

 

8.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베이스 생성이 완료된다.

 

 


 

RDS 생성 후 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(Time_zone, Character Set)
 

AWS) 데이터베이스(RDS) 파라미터 그룹 설정

RDS 운영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RDS를 처음 생성하면 몇 가지 설정을 필수로 해야 한다. 1. time_zone 2. character Set 설정을 하기 위해 왼쪽 카테고리에서 [파라미터 그룹]을 클릭해서 이동한

kitty-geno.tistory.com

 

AWS RDS 생성 후 접속 제한 설정하기
 

AWS | RDS 인바운드, 아웃바운드 규칙 추가, 수정

인바운드(Inbound)는 외국에서 내국으로 입국하는 것이고, 아웃바운드(Outbound)는 내국에서 외국으로 출국하는 것이다. (인바운드) 데이터베이스로 접근 하는 대상 (AWS 기본 설정으로 RDS 생성한 PC의

kitty-geno.tistory.com

 

 

반응형